본문 바로가기
> IT 노트/질문

훈훈한 Javascript (12) 질문

by 자몽주스 2023. 9. 11.
728x90
반응형

Q:

5:29 대에서

숫자 0이 i에 들어가고

0 번째 인덱스 값을 가진 요소 1을 갖고 올 수 있고,

코드 실행해주고 i(0)이 1 증가되니

arr.length = 길이가 5 니까

i < 5 를 조건식으로 해석해서

i[0] ~ i[4] 까지 인덱스를 기준으로 출력하므로 (arr[0] ~ arr[4] 를 의미한건데 잘못 표현)

1,2,3,4,5 가 출력 되는게 제가 맞게 이해한 걸까요?

A:


Q:

for ( let i = 0; i < timeKeys.length; i = i + 1 ) {

console.log (timeKeys[i])

} 에서

timekeys도 배열이고 똑같이 길이(length) 갖고 있으니까,

길이만큼 반복 하는 거니까 ( 길이 =4 ),

timeKeys[0]

timeKeys[1]

timeKeys[2]

timeKeys[3]

이렇게 돼서 인덱스 0 부터 인덱스 3까지 출력되는거니까

배열의 요소인 remainingDate (인덱스 0) ~ remainingSec (인덱스3) 까지 출력되는게 맞나요? 살짝 헷갈리니 제대로 이해했는지 모르겠어요..ㅠㅠ

A:


Q:

객체 접근할 때 쓰는 브라켓 노테이션 원리는 알겠는데

console.log(documentObj[docKeys[i]]);

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돼요

documentObj 라는 객체를 출력하기 위해 브라켓 노테이션을 사용해서 태그를 접근한 것 같은데,

[docKeys[i]] 를 사용한 원리와,

documentObj[docKeys[i]] 자체가 태그가 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..

 

자세하고 쉽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

A1:

A2:

= 태그의 결과를 받아오는게 헷갈리다면,

브라켓 노테이션 원리 한 번 더 생각해보기

728x90
반응형

'> IT 노트 > 질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훈훈한 Javascript (7) 질문  (0) 2023.09.06
[나도코딩] HTML + CSS + 자바스크립트 질문 - 1  (0) 2023.04.05